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구조

SSD (Solid State Disk)

가. SSD (Solid State Drive, Solid State Disk)

하드 디스크(HDD)와는 달리 반도체를 이용한 저장장치이다. 임의 접근을 하여 탄색시간 없이 고속으로 데이터를 읽고 쓸수 있다.  기계적 지연이나 실패율이 현저히 적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한 데이터 손상이 없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순수 전자식으로 작동하므로 기계식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문제인 긴 탐색시간, 레이턴시, 기계적 지연, 실패율을 크게 줄여준다. 반면 DRAM이 아닌 플래시 메모리가 적용된 SSD의 경우, 데이터 접근시간이 아닌 영속적인 읽기와 쓰기에 대해 하드 디스크보다 속도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신 기술이 적용된 SSD의 경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상의 읽기와 쓰기 속도를 낼 수 있는 것도 있다.

 

나. 구조

플래시 드라이브

  • 대부분의 SSD 제조업체들이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함.
  • 비활성 메모리이므로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기억 정보를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 대형파일을 다룰때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보다 속도가 느림. 하지만 움직이는 부품이 없기에 검색시간, 다른 지연시간은 무시됨.
  • 성능 : 병렬 NAND 플래시 칩의 수에 따라 당라짐. 
  • SLC(싱글 레벨 셀), MLC(멀티 레벨 셀)

DRAM 기반 드리이브

  • 휘발성 메모리를 기반으로 한 SSD
  • 매우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 (0.01 msec이하)
  • 내부 전지, 외장AC/DC어텝터, 백업 스토리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 영구성을 보장.

 

다.하드디스크와 비교

장점

  • 임의 접근으로 탐색 시간없어 빠른 데이터 입.출력
  • 물리적 이동이 없어 전력이 절약, 소음없고 발열도 낮다
  • 물리적 움직임이 없어 기계적인 실패가 없다. 높은 기계적 신뢰성이 보장
  • 충역, 기압, 진동, 온도변화에 강함
  • 하드 디스크에 비해 크기와 무게가 작다

단점

  • 가격이 비싸다. (2010년 7월현재)
  • 하드 디스크에 비해 수명이 짧다.(수만번의 수정으로 소자가 파괴) --> Wear leveling(균등분배)기술로 수명의 연장 가능
  • DRAM기반은 정전에 의한 데이터 손실 발생 가능, 하드 디스크에 비해 정전기에 약함
  • 블록단위로 삭제후 쓰기를 수행. 임의 쓰기(Random write)에 약함.
  •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소모량이 많을 수 있다. 풀 로드가 아닌 유휴상태에서 SSD가 소모량이 많을수 있다.
  • 일부 SSD의 경우 내장된 컨트롤러 침셋의 한계로 데이터 교환이 일시적으로 프리징되는 현상이 간혹 발생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트 및 볼트 암페어  (0) 2011.04.15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0) 2011.03.15
스토리지 가상화  (0) 2011.02.07
패브릭 기반 컴퓨팅 (Fabric-based computing)  (0) 2011.02.07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  (0) 2011.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