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프트웨어 공학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I. 폭포수 모델 개요

가. 폭포수 모델이란?

순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프로세스)로, 개발의 흐름이 마치 폭포수처럼 지속적으로 아래로 향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 폭포수 모델의 흐름은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시작하여,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구현, 소프트웨어 시험, 소프트웨어 통합 단계 등을 거쳐,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단계에까지 이른다. - wikipedia

 

II. 폭포수 모델

가. 폭포수 모델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기술,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구현, 통합, 시험과 디버킹, 설치, 유지보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한단계, 한단계 씩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간다. 전단계가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안하고 있다.

waterfall[1].gif 

그림> 폭포수 모델 도식도

 

 

III. 폭포수 모델의 장단잠

가. 장점

단계가 간단하게 구분이 되어 있어서 복잡하지 않은 프로젝트와 단시일의 프로젝에서 빠르게 일정을 수립하고 수행을 할 수가 있다.

 

나. 단점

설계시나 구현시 문제점이 발생을 하였을 때 다시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정리하는 단계로 넘어오지 않기 때문에 초창기의 오류를 수정을 할 수가 없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XP (eXtreme Programming)  (0) 2011.04.19
IT Governance  (0) 2011.02.09
EPMO  (0) 2010.11.16
나선형 모델 (Spiral)  (0) 2010.10.04
프로토타입 모델(Prototyping)  (0) 201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