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C는 클라우드형 소프트웨어 기지국이라고 할수 있다. 요즘 같은 데이터 폭발시대에 데이터 용량을 마음껏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망의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이때 비용을 절감하면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클라우딩 기술이다. 클라우딩 기술을 적용한 CCC를 통해 기존의 무선망대비 50% 이상의 추가 무선망 확보가 가능해진 것이다.
예를들면, 강남역 주변에 적용되는 현재의 셀 기반 기지국을 좀더 작은 범위를 적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최적화 할수 있다. 추가 투입되는 장비 설치 및 유지비용을 클라우딩 기술을 통해 절감함으로써, 더욱 촘촘한 범위의 무선네트워크 최적화를 꾀할 수 있게 하는 획기적인 기술이다.
Cloud Communication Center
가.개요
CCC는 기존 무선 기지국에서 하나의 장비 내에 있던 디지털 신호처리부(Digital Unit, DU)와 무선신호처리부(Radio Unit, RU)를 분리하여 DU를 별도의 DU센터에 집중하고, RU는 서비스 대상 지역에 원격으로 설치해 DU와 FU는 광케이블로 연동하는 새로운 Green 무선 통신망 기술이다.
나.적용
KT는 서울/수도권 CCC 무선망 도입을 통해 기존 방식 대비 수도권 무선망 용량이 약 1.5배 이상으로 증대돼 데이터 폭증을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임차료와 유지보수비 등 망 운용 비용이 약 9%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량은 약 45% 감소돼 연간 탄소배출량이 약 1만톤 이상 줄어들 것으로 분석했다.
고객은 더욱 빠르고 안정적으로 대용량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상된 통화품질을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용어정리
-
CCC (Cloud Communication Center)
- IT의 Cloud Computing 개념(분산 처리를 집중화 처리 구조화 하여 자원 및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는 기술)을 응용한 DU와 RU로 구성된 무선통신망 구조이며 KT에서 최초로 도입한 용어임.
-
DU (Digital Unit)
-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붐으로 3G, 와이브로, LTE 등의 무선 디지털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카드로 구성되며 RU(Radio Unit)와는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동하며 교환국사에 DU 집중센터로 운영됨
-
RU (Radio Unit)
- 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부문으로 DU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RF(Radio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로 송수신하는 변환장치와 RF증폭기로 구성됨.
-
CCC 가상화
- 3G, 와이브로, LTE 등 다양한 무선기술을 하나의 DU에 Software 적으로 적용하여 다수의 DU를 하나의 DU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며 DU자원의 집적화율을 높여 효율성이 향상됨.
출처 : KT,
출처 :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516182&lmv=A01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컴퓨터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0) | 2013.08.13 |
---|---|
무어의 법칙 (Moore's Law) (0) | 2011.04.20 |
와트 및 볼트 암페어 (0) | 2011.04.15 |
OSGi (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0) | 2011.03.15 |
SSD (Solid State Disk) (0) | 201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