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원가 관리
승인된 예산 범위내에서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도록 원가를 산정하고, 예산을 책정하고, 원가를 통제하는 프로세스들을 포함
7.1 원가 산정 (Estimate Costs)
7.2 예산 결정 (Determine Budget)
7.3 원가 통제 (Control Costs)
프로젝트 원가 관리의 세 가지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수반되는 작업에 앞서 프로젝트 관리팀의 기획 업무가 수반된다.
-
원가계획서
- 정확도 수준
- 측정 단위
- 조직 절차 연계
- 통제 한계선
- 성과 측정 규칙
- 보고 형식
- 프로세스 설명
7.1 원가 산정 (Estimate Costs)
프로젝트 활동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금전적 자원의 근사치를 추정하는 프로세스
그림. 원가 산정 데이터 흐름도
-
Three-point estimates
-
활동 원가 기대치(Ce) = (낙관치(Optimistic, Co) + 4 * 최빈치(Most likely, Cm) + 비관치(Pessimistic, Cp)) / 6
-
7.2 예산 결정 (Determine Budget)
개별 활동 또는 작업 패키지별로 산정된 원가를 합산하여 승인된 원가 기준선을 설정하는 프로세스
그림. 계산 결정 데이터 흐름도
7.3 원가 통제 (Control Costs)
프로젝트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프로젝트 예산을 갱신하고 원가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그림. 원가 통제 데이터 흐름도
-
획득가치관리(Earned Value Management, EVM) : 성과측정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 프로젝트 범위, 원가, 일정 측정결과를 통하하여 프로젝트 관리팀에서 프로젝트 성과와 진행을 평가 및 측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계획가치(Planned Value, PV) : 활동 또는 작업분류체계 구성요소를 완료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에 배정되어 승인을 받은 예산
-
총 계획가치(PV), 성과측정기준선(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 PMB)
-
프로젝트의 총 계획가치, 완료시점 예산(Budget At Completion, BAC)
-
-
획득가치(Earned Value, EV) : 승인된 예산으로 표현되는 작업 가치
-
실제원가(Actural Cost, AC) : 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발생되어 기록된 총 원가, 획득가치(EV)가 측정된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발생된 총 원가
-
일정차이(Schedule Valriance, SV) : 프로젝트에 대한 일정 성과를 측정하는 척도, SV = EV - PV
-
SV < 0 : 일정지연
-
-
원가차이(Cost Variance, CV) : 원가 성과를 측정하는 척도, CV = EV - AC
-
CV > 0 : 원가절감
-
CV < 0 : 예산초과
-
-
일정성과지수(Schedule Performance Index, SPI) : 예정진행률 대비 실제 달성 진행률의 척도, SPI = EV/PV
-
SPI < 1 : 공정지연
-
-
원가성과지수(Cost Performance Index, CPI) : 실제 원가 또는 진행률 대비 완료된 작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척도, CPI = EV/AC
-
CPI < 1 : 예산 초과
-
-
-
예측 (Forecasting)
-
EAC (Estimate At Completion) : 프로젝트 종료시의 예상원가
-
EAC = 기 발생된 원가(AC) + 향후 추가 발생원가(ETC, Estimate To Complete)
-
ETC = 남은 업무 / 업무 수행 생산성
-
EAC = AC + (BAC - EV) / (EV / AC) = BAC / CPI, BAC (Budget At Completion) = 전체 계획 원가 (Total Budget)
-
-
예산 시세로 수행한 ETC 작업에 대한 EAC 예측
-
EAC = AC + BAC - EV
-
-
-
-
현재 CPI로 수행한 ETC 작업에 대한 EAC 예측
-
EAC = BAC / 누적 CPI
-
-
SPI 및 CPI 요인을 고려한 ETC 작업에 대한 EAC 예측
-
AC + [(BAC - EV) / (누적 CPI * 누적 SPI)]
-
-
-
완료 성과 지수 (To-complate Performance Index, TCPI) : BAC, EAC 등과 같이 지정된 관리 목표를 충족하기 위하여 잔여 작업에서 달성해야 하는 원가 성과를 산출한 예상치
-
TCPI = (BAC - EV) / (BAC - AC)
-
-
추가용어
-
Payback period : 투자원금을 회수할 때까지의 기간
-
NPV(Net Present Value) : 순현재가치라고 하며, 미래의 현금흐름(cash flow)을 현재의 기준으로 환산(할인, discount)한 투자금액과 수익의 차이를 의미
-
NPV가 클수록 좋으며 최소 ㅇ보다 높아야 이익이 있다는 의미
-
-
IRR(Internal Rate of Return) : 내부수익률이라고 하며, NPV를 0으로 만드는 자본비용을 위미
-
IRR이 높을수록 좋다
-
-
BCR(Benefit Cost Ratio) : 비용과 수익에 대한 비율
-
손익분기점(Break even point) : 투자원금을 회수하는 판매수량
-
매물원가(Sunk cost)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
EPV(Ecperted Present Value)
-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PMI'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프로젝트 인적 자원 관리 (Project Human Resource Management) (0) | 2010.03.22 |
---|---|
8. 프로젝트 품질관리 (Project Quality Management) (0) | 2010.03.19 |
6. 프로젝트 시간 관리 (Project Time Management) (0) | 2010.03.09 |
5. 프로젝트 범위 관리 (Project Scope Management) (0) | 2010.01.27 |
4. 프로젝트 통합 관리 (Project Integrattion Management) (0) | 2010.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