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나선형 모델 (Spiral) I. 나선형 모델 개념 가. 나선형 모델이란? 개발 주요기능을 사전에 위험분석을 통하여 반족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최종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점진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이다. 선형순차 모델의 제어와 프로토타이핑의 반복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결함시킨 단계적 프로세스 모델이다. 이미 개발된 Prototype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최종 소프트웨어에 이르게 하는 모델이다. 나. 특징 대규모 시스템 및 위험부담이 큰 시스템 개발에 적합하다. Critical Success Feature를 먼저 개발한다. 위험 명세화 및 위험 최소화에 최우선, 성과를 보면서 투자, 위험부담 최소화 나선형 모델에서 소프트웨어는 점진적인 릴리즈 단계로 개발 개발자의 위험요소 식별 및 해결 능력이 중요 II. 나선형 모형의 단계 계획 및 정의 :.. 더보기
폭포수 모델 (Waterfall model) I. 폭포수 모델 개요 가. 폭포수 모델이란? 순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한 프로세스)로, 개발의 흐름이 마치 폭포수처럼 지속적으로 아래로 향하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 폭포수 모델의 흐름은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시작하여,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구현, 소프트웨어 시험, 소프트웨어 통합 단계 등을 거쳐,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단계에까지 이른다. - wikipedia II. 폭포수 모델 가. 폭포수 모델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기술, 소프트웨어 설계, 소프트웨어 구현, 통합, 시험과 디버킹, 설치, 유지보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한단계, 한단계 씩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간다. 전단계가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가 수행되지 않도록 제안하고 있다. 그림>.. 더보기
프로토타입 모델(Prototyping) I. 프로토타입 모델(Prototyping) 개요 가. 프로토타입 모델 정의 고객은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시스템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모르거나 요구사항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개발자는 시스템을 개발할 때 고객의 요구사항을 불완전하게 파악한채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프로세스 모델의 원형(프로토타입)모델이다. 실제 개발 이전에 사용자나 고객이 시제품을 보고 평가하여 요구사항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II. 프로토타입 모델 순서 가. 프로토타입 모델 단계 프로토타입 모델은 폭포수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해 나가는 접근방법으로 한다. 가. 프로토타입 단계별 설명 1) 프로토타입 정제 프로토타입이 어떻게 수정되어야 .. 더보기
클라우드 프린팅 I. 클라우드 프린팅 개요 클라우드 프린팅이란 고객이 언제 어디서나 문서, 이미지등을 출력할때 인터넷상에 연결된 프린터로 출력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공개형과 비공개형 모델로 나눌 수 있는데 공개형 모델은 외부 기업,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비 공개형은 기업내부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모델이다. II. 클라우드 프린팅 구성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인프라 스트럭쳐, 프린트 기기로 구성이 된다. 고객은 문서를 선택한후 출력을 위해 외부 클라우트 프린팅 회사를 선택하여 출력을 진행 모바일, 유선네트워크에서 사업자의 클라우드에 전송하고 고객은 자신이 지정한 장소의 프린터에서 출력을 받음 III. 클라우드 프린팅 발전 방향 클라우드 프린팅은 통합출력관리서비스(MPS, Managed Print Ser.. 더보기
XSS(Cross Site Scripting) I. XSS (Cross Site Scripting) 개요 가. XSS 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나타나는 취약점의 하나로,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닌 이가 웹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를 삽입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를 실행하게끔 허용하는 취약점이다.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이용하는 전자 게시판 형태의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이트 간 스크립팅 취약점을 가질 경우 특히 공격 대상이 되기 쉽다. 이 취약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값을 웹 애플리케이션이 검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 나타난다. 주로 사용자의 정보(쿠키, 세션 등)를 탈취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특수 문자나 예약어, 스크립트를 나타내는 ', " , > , < , % , $ 등의 문자를 이용한다. 공격 대상 웹사이트에 삽입한 스크립트를 이.. 더보기
12. 프로젝트 조달관리 (Project Procurement Management) 작업 수행에 필요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을 프로젝트 팀 외부로부터 구매하거나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들을 포함한다. 12.1 조달 계획수립 (Plan Procurements) 12.2 조달 수행 (Conduct Procurements) 12.3 조달 관리 (Administer Procurements) 12.4 조달 종료 (Close Procurements) 계약(Contract)이란 응용분야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합의서(Agreement), 양해각서(Understanding), 구매주문서(Purchase Order)라고 명칭 Procurement Management 정의 프로젝트 작업 수행에 필요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을 외부로부터 구매하거나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들을 포함 계약관리는 .. 더보기
11.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Project Risk Management) 프로젝트에 대한 리스크의 관리 기획, 식별, 분석, 대응 기획, 감시 및 통제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들을 포함 11.1 리스크 관리 계획수립 (Plan Risk Management) 11.2 리스크 식별 (Identify Risk) 11.3 정성적 리스크 분석 수행 (Perform Qualitative Risk Anaylsis) 11.4 정량적 리스크 분석 수행 (Perform Quantitative Risk Anaylsis) 11.5 리스크 대응 계획수립 (Plan Risk Responses) 11.6 리스크 감시 및 통제 (Monitor and Control Risks) 위험(Risk) : Uncertain Event or Unknown Condition(불확실한 사건 또는 상황), 위험은 부정적(Neg.. 더보기
10.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 (Project Communications Management) 프로젝틍 정보의 생성, 수집, 배포, 저장, 검색 그리고 최종 처리가 적시에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포함 10.1 이해관계자 식별 (Identity Stakeholders) 10.2 의사소통 계획수립 (Plan Communications) 10.3 정보 배포 (Distribute Informations) 10.4 이해관계자 기대사항 관리 (Manage Stakeholder Expectations) 10.5 성과 보고 (Report Performance) 10.1 이해관계자 식별 (Identity Stakeholders) 프로젝트의 영향을 받는 모든 사람 혹은 조직을 식별하여 각각의 이해 사항, 관여도, 프로젝트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력에 돤한 정보를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그림. 이해관계자 식.. 더보기